Bomin PaPa
  • lucky Information
      • 분류 전체보기 (20)
        • Lucky info 리뷰 (1)
          • 기능과 옵션 (1)
          • 유용한 프로그램 (0)
        • DIY (11)
          • CAR (11)
        • ICT (6)
          • Python (5)
          • C,C++ (1)
        • etc (2)

    • 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2020/02'에 해당되는 글 3건

  • 2020.02.18 엔진 작동 원리
  • 2020.02.17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 2020.02.10 현대차 정비지침서, 전장회로도

엔진 작동 원리

DIY/CAR 2020. 2. 18. 23:53

현재 자동차는 거의 보닛 밑 동력실에서 내연기관이 구성되어 있다. 

내연 기관이란, 몇 개의 폐쇄된 실린더 내부에서 연료를 태우고 이 연소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차량의 바퀴를 움직이는데 이용한다. 오늘날 엔진은 이전 모델들에 비해 더 작고 강력하고 연비 효율이 높고 깨끗하게 작동한다. 

특히 휘발유와 공기는 압축되면 한층 더 잘 타는, 가연성 높은 혼합기를 형성한다. 

실린더 내부에서는 기화된 휘발유와 공기의 혼합기가 드럼 모양의 피스톤으로 압축돼 점화된다. 불타는 연료 공기 혼합기가 팽창하면서 피스톤을 아래로 밀고 이 피스톤이 크랭크샤프트를 돌린다.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은 기어를 통해 자동차의 바퀴로 전달된다. 

 

엔진 배치 

현대식 자동차의 엔진은 대개 4개 이상의 실린더가 일렬로 배열돼 있다

직렬 배치 또는 일렬(in-line) 배치라고 불리는 이배치는 제조하기 비교적 쉽고 싸다는 것이 이점이다. 그렇지만 직렬 배치가 실린더를 배치하는 유일한 방식이 아니다. 또한 출력, 원활한 운전, 무게 중심 높이, 주어진 공간에 엔진이 얼마나 잘 들어맞느냐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면 반드시 가장 좋은 방식도 아니다. 

 

직렬 4기통

직렬 혹은 일렬 배치는 오늘날 4기통 엔진에 주로 쓰는 방식이다. 

실린더가 6개 이상인 직렬 배치 엔진들은 무척 유연하게 움직이지만 정밀도가 요구되며 길이가 길다 보니 좁은 엔진실에 집어넣기가 쉽지 않다. 

 

V6

배기량이 큰 직렬 엔진들은 너무 길고 높아 차체가 낮은 스포츠카에 집어 넣기가 어렵고, 기다란 크랭크 샤프트는 압력을 받으면 휠 수도 있다. 때문에 많은 자동차 메이커들이  V자로 배열된 실린더 뱅크 2개의 소형 엔진을 선호한다. 

 

수평 대향 4기통

실린더들이 2개씩 180도로 누워 마주 보고 있다.. 그 결과는 무게 중심이 낮고 넙적한 엔진이다. 

피스톤의 균형 잡힌 움직임은 진동을 줄이고 부드러운 주행감을 준다. 

 

로터리(단면)

 방켈 로터리 엔진은 실린더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 대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3각 회전자(rotor)를 사용한다. 회전자는 회전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무척 유연하게 생성하기 위해 특별히 만들어진 덮개 안에서 회전한다.

 

4행정(스트로크)

엔진이 달리고 있을 때 모든 실린더는 매분 수십 번씩 4개의 행정으로 구성되는 동일한 일련의 작동을 한다. 

4행정이란? 흡입, 압축, 폭발, 배기 이다. 

폭팔 행정만이 동력을 생성하고 각 실린더에서 크랭크 샤프트가 2회 회전할 때마다 1번만 일어난다. 

4기통 엔진에서 점화 플러그는 차례로 점화하기 때문에 늘 적어도 한 실린더에는 동력 행정이 일어난다. 

 

1. 흡입 행정

 - 흡기 밸브가 열리고 피스톤이 아래로 움직여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엔진의 흡기 연료 주입 시스템을 통해 실린더로 끌어들인다. 

2.  압축 행정

 - 피스톤이 다시 실린더 위쪽으로 간다. 그러면 실린더 내부 압력이 높아져 연료-공기 혼합기를 데운다.

3. 폭발 행정

 - 피스톤이 꼭대기 부근에 있을 때 점화 플러그가 발화한다. 연소된 혼합기가 팽창하면서 피스톤을 다시 실린더 아래로 내려보낸다. 

4. 배기 행정

 - 피스톤이 바닥에 닿으면 배기 밸브가 열린다. 피스톤이 다시 올라가 폐기 가스를 배기구로 보낸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크렌치, 디지털 컨버터, 디지털 토크 렌치 구매기  (0) 2020.05.05
그랜저HG 도어 하이그로시(가니쉬 어셈블리) 교체 DIY  (3) 2020.03.18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0) 2020.02.17
현대차 정비지침서, 전장회로도  (0) 2020.02.10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DIY/CAR 2020. 2. 17. 23:55

안녕하세요 보민파파입니다.

 

오늘은 점화플러그 교체 DIY에 앞서 지난번에 소개 드렸던 GSW의 정비절차를 참고하는 방법 부터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제 차는 곧 15만키로가 다되어 예방정비?를 하고자 합니다.

현재 누적 마일리지가 14만키로 정도 되는데 아직 부조는 없습니다.

예전에 CVVT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사업소에서 보증수리를 진행한적 있습니다. 

또한, 태빗 교체도 있었습니다. 

 

우선 GSW에 로그인을 하신 후

상단 매뉴 탭에서 정비지침서를 누르시고,

순서대로 "승용 > 그랜저(HG) > 2011 > G3.0GDI"을 선택 하시면 좌측에 G3.0GDI 라고 트리 메뉴가 생성 됩니다.

 

차근 차근 "G3.0 GDI > 엔진 전장 시스템 > 점화시스템" 선택하시면 “개요 및 작동원리”, “정비 절차“가 나옵니다.

 

우선 개요 및 작동 원리를 먼저 보겠습니다.

 

○ 개요

 점화 시기는 전자 제어 점화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엔진 작동 상태에 따른 표준 점화 시기 데이터는 ECM(Engine Control Module)의 메모리에 저장 되어있다.

엔진 작동 상태(속도, 부하, 웜 업 상태 등)는 다양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센서 신호와 점화 시기 데이터를 바탕으로1 차 전류 차단 신호를 ECM으로부터 받아 점화 코일이 활성화 되고 점화 시기가 제어된다.

 

그냥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그럼 “정비절차”를 누르겠습니다.

본문 내용은 2.4L 엔진과 3.0L 엔진 두 종이 같이 나와 있습니다.

 

 

이럴거면 카테고리는 왜 나눠놨을까요?

 

참고로,

 

3.0L 엔진은 V6엔진으로 본닛 앞쪽 범버측에서 보시면 몸과 가까운 쪽을 앞쪽이라 칭하겠습니다.

앞쪽에 3기통, 뒤쪽에 3기통 나눠져있으며 뒤쪽 3기통의 점화플러그, 점화코일은 흡기서지탱크 밑에 있습니다.

이에, 뒤쪽 3기통 점화플러그, 점화코일 교체를 위해서는 흡기서지탱크를 탈거 해야됩니다. 

 

우선,

본문 내용을 보시면 “스파크 상태 점검”, “점화플러그 점검”, “점화 코일 점검”, “분리 및 장착” 순으로 나와 있습니다.

 

1.스파크 상태 점검

 1) 점화 코일 커넥터를 분리 한다.

 2) 점화 코일을 탈거한다. (체결토크 1.0~1.2kgf.m)

 3) 점화 플러그 소켓을 사용하여 점화 플러그를 탈거한다.

 4) 점화 코일에 점화 플러그를 장착한다.

 5) 점화 플러그를 차체에 접지 시킨다.

 6) 엔진이 크랭킹 되는 동안 스파크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7) 각각의 점화 플러그를 모두 점검한다.

 8) 점화 플러그 소켓을 사용하여 점화 플러그를 장착한다. (체결 토크 1.5~2.5kgf.m)

 9) 점화 코일을 장착한다.

 10) 점화 코일 커넥터를 연결한다.

 

2. 점화 플러그 점검

 1) 점화 코일 커넥터를 분리한다.

 2) 고정볼트를 탈거한 후 점화 코일을 탈거한다. (체결토크 : 1.0 ~ 1.2kgf.m)

 3) 점화 플러그 소켓을 사용하여 점화 플러그를 탈거한다.

 4) 전극과 세라믹 인슐레이터(B)를 점검한다.

 5) 전극의 간근을 점검한다. (규정값 : 1.0 ~ 1.1 mm)

 

○ 전극의 점검

*전극부가 검다

->연료 혼합비 농후, 흡입 공기량 부족

*전극부가 희다

->연료 혼합비 희박, 점화 시기 빠름, 점화 플러그 체결 토크 부족

 

3. 점화 코일 점검

1)커넥터 터미널 (+)와 (-)사이의 1차 코일 저항을 측정한다. (규정값 : 0.62 ± 10 % (Ω))

 

4. 분리 및 장착

1) 엔진 커버를 탈거한다.

2) 점화 코일 커넥터(A)를 분리한다..

3) 고정볼트를 풀고 점화 코일을 탈거한다.(체결토크: 1.0 ~ 1.2 kgf.m)

4) 장착은 분리의 역순으로 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구절절 적혀 있는데요,

여기서 DIY를 하기 앞서 주목 할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바로, 체결 토크와 점검 방법 인데요.

 

DIY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고 정상 유무를 미리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2.4L 엔진의 경우 분리 장착이 용이한 반면 3,0L는 흡기 탱크를 뜯어야 하기 때문에 불량품을 장착하면 강제로 반복 숙달을 해야됩니다.

 

아참! 점화플러그는 꼭 대리점에 방문하시어 구매를 하시기 바랍니다.

점화플러그의 바디는 세라믹으로 되어 있어서 충격에 약합니다.

택배기사님이 최대한 조심히 배송해주시겠지만,

점화플러그는 얇디 얇은 종이박스에 그냥 들어 있습니다. 뽁뽁이나 보양지는 1도 찾을 수 없습니다.

세라믹도 세라믹이지만 전극의 간극 손상이 될 수 있으니

필히!! 대리점에서 구매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우선 점화플러그를 구매 해오셨다면, 육안 검사를 먼저 합니다.

1) 세리믹에 크랙의 유무

2) 플러그가 전극 아래, 윗 부분의 부식 상태

3) 플러그 전극의 간극 A 점검  (이격 거리 : 1mm ~ 1.1mm ) <-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점화 코일의 저항값을 측정합니다.

측정 값 : 0.62옴 <- 역시 꼭 측정을 해 봅니다. 

 

구매한 부품에 문제가 없다면 체결 토크를 기록 해둡니다.

 

1) 점화코일 체결 토크 : 1.0~1.2kgf.m

2) 점화플러그 체결 토크 : 1.5~2.5kgf.m

3) 서지탱크 볼트 : 1.0~1.2kgf.m

4) 서지탱크 브라켓 : 2.8~3.2kgf.m

 

규정 토크는 꼭 지키셔야 합니다.

엔진은 알루미늄합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조이실 경우 엔진해드의 나사선이 마모되어

압축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핸리 코일이나 탭으로 나사선을 복구 할 수 있으나,

기존 성능보단 못하니 절대 절대 주의 하셔야 합니다.

 

점화플러그, 점화코일의 점검 절차는 확인하였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3.0은 흡기 서지 탱크를 분리를 해야됩니다.

 

서지탱크 분리하는 항목은 “흡기 및 배기 시스템”을 참조 해야됩니다.

좌측의 트리 매뉴에서 "G3.0 GDI > 엔진 기계 시스템 > 흡기 및 배기 시스템 > 흡기 매니폴드 > 구성 부품 및 부품 위치"

흡기 매니폴드 구성부품 및 부품 위치

상기 그림과 같이 1 서지탱크를 분리해야 됩니다.

 

그럼 정비절차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터리 (-)단자 분리 -> (+)단자 분리 -> 배터리 탈거

2. 엔진 커버 탈거 (그냥 훅 뜯으면 탈거가 됩니다. )

3. 에어 덕트 탈거 (B,C 지점의 볼트를 먼저 풀어야 됩니다.)

4. 브리더 호스(A), 인텐셔 파이어 호스 (B)를 분리한다.

5. 에어 흡기 호스 클램프(C)를 풀고, 에어클리너 어셈블리(D)를 탈거한다.

- 언더 커버 생략, 냉각수 생략

※ 저희는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만 교체(서지탱크만 탈거)할 것이므로 생략합니다.

6. VIS 커넥터 (C)

7. LH 흡기 CMPS 커넥터 (D)

8. MAP 센서 커넥터 (A)

9. PCSV 커넥터 (B)

10.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호스 (C)

11. PCSV 호스 (A)

12. 연료 호스 (B)

13. 스로틀 바디 냉각수 호스 (C)

14. RH 흡기 CMPS 커넥터 (A)

15. 노크센서 커넥터 (B)

16. OTS 커넥터 (C)

17. ETC 커넥터 (D)

18. WTS & 게이지유닛 커넥터 (E)

19. 서지탱크의 볼트들을 탈거한다. (구성부품 및 부품 위치 참고)

 

상기와 같이 많은 부품과 볼트를 풀어야 하는데요,

글로만 봤을 땐 잘 이해가 안 되고 특히 작업 중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제가 작업을 하고 실제 작업 사진과 팁을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알리를 통하여 토크렌치를 주문하였는데 코로나19 때문인지 영 배송될 기미가 안보이네요,

블루x드의 토크렌치라도 최대한 빨리 구매를 하여 좋은 정보를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랜저HG 도어 하이그로시(가니쉬 어셈블리) 교체 DIY  (3) 2020.03.18
엔진 작동 원리  (0) 2020.02.18
현대차 정비지침서, 전장회로도  (0) 2020.02.10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현대차 부품(WPC) 정보 검색  (0) 2020.01.12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

현대차 정비지침서, 전장회로도

DIY/CAR 2020. 2. 10. 00:07

안녕하세요 보민파파 입니다. 

 

금일은 현대차 DIY를 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정비 지침서" 와 "전장 회로도"  보는 방법을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처음에는 보시면 어렵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다양한 다이를 하다보면

 

특히,

 

기존 배선 뭉치에 결선을 해야하는데 분명 블로그를 봤을때 있었던, 있어야 할 전선이 없거나,

 

전선색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황당한 일을 격어 보셨거나,

 

분명이 격으시게 될 예정? 입니다.

 

저 또한 해당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럼 이런 일이 왜 있냐?

 

보통 차종 마다 등급, 옵션에 따라서 하네스를 각각 구비하여 시공하게 되어 있습니다.

 

(옵션이 없는데 배선이 있다면, 제조사 측에선 원가상승이 되겠죠) 

 

이에, 같은 차종이지만 옵션이 다르다면 배선 사양이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IY 정보를 공유 주신분의 정확한 차종 년식 및 옵션 사양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그랜져HG 11년식 경우는 옵션(등급)에 따라 개별 하네스들이 있었는데, 

 

13년 식 부터는 작업의 시공성이나 관리 용이 목적으로  하네스를 단일화 시킨것 같습니다.

(전선 몇가닥 원가보다 오 삽입해서 재시공하는 시간이 비용으로 따졌을때 더 컷을 것으로 조심히 생각해봅니다.)

 

<좌측, 11년식 / 우측, 13년식>

여기서 하네스란,  여러개의 전선들을 묶어 하나의 케이블로 만든것을 칭합니다. 

특히 하네스는 케이블화하여 공통된 라인에 한번에 시공하고 각 분기로 나눠질땐 커넥터화 하여 작업 및 시공의 효율을 도모 합니다. 

 

아무튼, 이제 GSW (현대 국내기술정보 웹사이트)에 가입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안내 드리겠습니다.

 

우선 접속 사이트 주소는 https://gsw.hyundai.com/hmc/login.tiles 입니다. 

 

 

 해당 사이트는 현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Login 하단에 "회원 가입"을 누르시면 하기외 같이 약관 동의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처리방법", "이용약관", "개인정보의 제공 및 활용동의" 등 내용이 있는데요, 

굳이 읽으실 필요 없이 제일 하단에 "전체 동의함"을 누르시면 됩니다. 

 

읽으시고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 있다면 동의 하지 않습니다.를 누르시면 됩니다만 그럼 가입이 안되오니, 과감하게 그냥 넘어 갑니다.

 

 

그럼 일반회원, 정비협력업체 회원, 사내직원 등 선택 부분이 나오는데 제일 앞에 있는 일반 회원  GO를 선택 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넣는 화면이 나오는데,

 

생년월일이나 민감한 정보 넣는 화면 항목은 없으니 그냥 ID, 비밀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을 입력하시고 가입하시면 됩니다. 

 

E-mail은 정확한 정보를 넣으시길 바랍니다. 추후에 비밀번호를 잃었을 경우 이메일로 찾으셔야됩니다. 

한가지 팁! 해당 사이트는 개인정보나 사용자 확인이 없기 때문에 아이디, 비밀 번호를 잃어버렸을땐,

그냥 다시 만드는게 더 빠를 수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비밀번호는 특수 문자를 꼭 넣어야 가입이 되오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가입을 마쳤다면 아래와 같이 회원가입이 완료 되었습니다. 문구를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확인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전환 됩니다. 

GSW가 대단한게 현대에서 제작했던 제작하는 모든 차종의 정보를 다 연람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가입하는 방법을 공유 드렸구요.

 

다음번에 각 파츠(DIY할 부품)에 들어가는 방법을 공유 드리겠습니다. 

 

원래 하나의 예를 들어 회로도를 보는 방법을 공유 드리려 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걸려 다음에 공유 드려야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최근에 무드등 다이를 했는데요,

 

커넥터의 미등 배선색이 맞지 않아 좀 해맸던적이 있었습니다. 

 

알고보기, 배선이 노화? 되어 변색이 발생되었던 것이죠.. 

 

흰색에 갈색선이 있어야 하는데 눈에 보이는건 아무리봐도 아이보리색에 회색 같이 보이더라구요.. ^^;;

 

그래서 GSW에 접속하여 해당 커넥터를 확인하고 PIN 번호를 통하여 찾았습니다. 

 

다음번엔 시간에 여유를 두고 좀 더 자세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 작동 원리  (0) 2020.02.18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0) 2020.02.17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현대차 부품(WPC) 정보 검색  (0) 2020.01.12
현대차 그랜져HG MDPS 결함 수리 (구리스) DIY  (2) 2020.01.04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
  • «
  • 1
  • »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20)
    • Lucky info 리뷰 (1)
      • 기능과 옵션 (1)
      • 유용한 프로그램 (0)
    • DIY (11)
      • CAR (11)
    • ICT (6)
      • Python (5)
      • C,C++ (1)
    • etc (2)

글 보관함

달력

«   2020/02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태그목록

  • 현대차 DIY
  • 점화플러그DIY
  • 활대
  • 그랜져hg
  • GSW
  • 현대차 배선
  • 그랜저HG
  • 그랜저hg 도어
  • 더뉴스파크 프리미어
  • 디지털 토크 컨버터
  • 흡기서지탱크 탈거
  • 현대차 전장
  • 현대차 GSW
  • 제 21대 국회의원선거
  • 현대 정비지침서
  • copilot
  • 그랜져hg 하체소음
  • 디지털 깔깔이
  • MDPS 자석현상
  • 그랜저hg 하이그로시
  • 현대차
  • 스테빌라이져링크
  • 그랜져hg 하체
  • 디지털 토크렌치
  • 그랜저hg 흡기서지탱크
  • 더뉴스파크
  • ChatGPT
  • 가니쉬 어셈블리
  • 활대링크
  • DIY

링크

BominPAPA

블로그 이미지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LATEST FROM OUR BLOG

RSS 구독하기

LATEST COMMENTS

BLOG VISITORS

  • Total :
  • Today :
  • Yesterday :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