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min PaPa
  • lucky Information
      • 분류 전체보기 (19)
        • Lucky info 리뷰 (1)
          • 기능과 옵션 (1)
          • 유용한 프로그램 (0)
        • DIY (11)
          • CAR (11)
        • ICT (6)
          • Python (5)
          • C,C++ (1)
        • etc (1)

    • 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그랜저HG'에 해당되는 글 4건

  • 2020.03.18 그랜저HG 도어 하이그로시(가니쉬 어셈블리) 교체 DIY (3)
  • 2020.02.17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 2020.01.04 현대차 그랜져HG MDPS 결함 수리 (구리스) DIY (2)
  • 2019.12.31 현대자동차 MDPS 자석현상과 원인

그랜저HG 도어 하이그로시(가니쉬 어셈블리) 교체 DIY

DIY/CAR 2020. 3. 18. 23:17

안녕하세요! 보민파파 입니다. 


금일은 제가 생각하는 그랜져HG 외형의 치명적인 단점!


바로 B, C의 하이그로시 패널(정확한 명칭은 아닙니다) 입니다. 


초기앤 하이그로시 광택이 나 고급차야!! 이런 느낌을 주었지만 사용상


스크레치와 뜯김이 발생합니다. 


어느날 문득 엇? 왜? 뭐지? 이런 생각에 곰곰히 생각해보니,


스크래치는 세차중에 발생하는것 같구요, 


뜯김은 반지를 착용하고 여닫을 하다보면 발생생하는 것 같습니다. 


해당 DIY는 오래 전에 했던 것 이라, 기억을 더듬 더듬하여 공유 드리겠습니다. 


DIY하기 전에 여러 선배님들께 자문을 구하였지만 교체는 불가능하다 어렵다


의견이 많아 무작정 시작을 해보았습니다. 



우선, 훼손된 사진 부터 보고 가시죠! 


<동승석 B 필러 하이그로시>


극소 부위로 촛점이 잘 맞지 않았지만 흰색으로 뜨문 뜨문인 부분이 뜯긴 흔적 입니다. 




< B 필러 스크레치 >


특별한 이상은 없는 것 같으나 교체된 사진과 비교하여 보시면 확실히 광택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탈거 방법 과 준비물은 아래와 같습니다. 


준비물 : 접착제 제거제, 10mm 복스, + 드라이버, 헤라 


우선 하이그로시는 3M 양면 테이프로 붙여져 있습니다!! 

탈거 하다보면 3M의 진정한 접착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에, 접착제 제거제를 꼭 준비 하셔야 합니다.



우선은 운전석과 동승석의 사이드 미러 부터 탈거를 하셔야 합니다. 


 아쉽게도 사이드 미러 탈거 자료가 없음을 양해 부탁 드립니다. 

자료를 차곡 차고 적립하던 HDD가 정전과 함께 사라져 해당 자료도 겨우 찾아 공유 드립니다. 


자료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공유 드리는 부분은,

 만족도가 높기 DIY이기  때문입니다. 

설명이 부족하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댓글이나 메일을 주시면 성실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그럼 계속 설명 드리겠습니다.  

 


사이드 미러 탈거를 위해서는 우선 내장 사출물 부터 탈거를 하시고,

10mm 복스를 이용하여 미러를 탈거 합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붉은 원에 있는 + 볼트를 탈거를 합니다 .





미러 탈거와 상기 볼트를 제거 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크롬 장식을 제거 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크롬음 작은 힘에도 눌림(문콕 느낌)이 잘 생기오니 탈거 후 잘 보관해야됩니다. 




그리고 아래의 붉은색 표시 부분에 해라를 넣어 살작 든다면 하이그로시가 분리가 됩니다. 




B, C 필러 제거 하려면 역시 후석 도어의 내장 사출물을 제거합니다. 


제거를 하셨다면 C 필러 측의 볼트를 제거 합니다. 



 볼트는 해당 부분 뒤에 있습니다. 


하기 사진은 볼트를 제거 한 사진 입니다. 



볼트를 제거 하였다면 후석 도어 역시 크롬 장식을 제거를 해야됩니다. 




크롬 장식과 하이그로시를 제거한 상태 입니다. 

상기 사진과 같이 양면 테이프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남은 테이프의 두께가 제법 있어 제거를 꼭 하셔야 됩니다. 



제거한 애들? 입니다. 형상과 같이 뜯을 때의 처절함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하이그로시의 재질은 알미늄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제거 시 장갑을 필수로 착용하시길 권합니다. 


하이그로시가 뜯기거나 접히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이때 철과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품을 준비합니다. 


눈설미가 있으신분들은 발견하셨을 수 있을텐데요, 

구품은 양면 테이프가 3줄로 되어 있고, 신품은 양끝 2줄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분명.. 원가 절감이 아닌... 공정계선으로 보여집니다. 


제가 이렇게 판단하는 이유는 뜯을때, 

아니 양면 테이프 흔적을 제거할 때 정말 힘듭니다. 


이제 신품을 붙입니다. 



보양지가 붙어 있어 마치 제거한 상태 그대로인 것으로 착각하게 만드네요


그럼 보양지를 제거하여 구품과 신품을 비교를 하여 보겠습니다. 




사진 광량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우측 신품의 경우 유리와 같은 느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DIY 실사? 공유는 이 정도로 드리고 추후 GSW를 통하여 부족했던 설명 부분과 

WPC에서 구매 정보등을 좀 더 상세하게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크렌치, 디지털 컨버터, 디지털 토크 렌치 구매기  (0) 2020.05.05
엔진 작동 원리  (0) 2020.02.18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0) 2020.02.17
현대차 정비지침서, 전장회로도  (0) 2020.02.10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Tag DIY, 가니쉬 어셈블리, 그랜저HG, 그랜저hg 도어, 그랜저hg 하이그로시
, 댓글 3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현대차 GSW 보는 방법 (그랜저HG 3.0)

DIY/CAR 2020. 2. 17. 23:55

안녕하세요 보민파파입니다.

 

오늘은 점화플러그 교체 DIY에 앞서 지난번에 소개 드렸던 GSW의 정비절차를 참고하는 방법 부터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제 차는 곧 15만키로가 다되어 예방정비?를 하고자 합니다.

현재 누적 마일리지가 14만키로 정도 되는데 아직 부조는 없습니다.

예전에 CVVT에서 소음이 발생하여 사업소에서 보증수리를 진행한적 있습니다. 

또한, 태빗 교체도 있었습니다. 

 

우선 GSW에 로그인을 하신 후

상단 매뉴 탭에서 정비지침서를 누르시고,

순서대로 "승용 > 그랜저(HG) > 2011 > G3.0GDI"을 선택 하시면 좌측에 G3.0GDI 라고 트리 메뉴가 생성 됩니다.

 

차근 차근 "G3.0 GDI > 엔진 전장 시스템 > 점화시스템" 선택하시면 “개요 및 작동원리”, “정비 절차“가 나옵니다.

 

우선 개요 및 작동 원리를 먼저 보겠습니다.

 

○ 개요

 점화 시기는 전자 제어 점화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엔진 작동 상태에 따른 표준 점화 시기 데이터는 ECM(Engine Control Module)의 메모리에 저장 되어있다.

엔진 작동 상태(속도, 부하, 웜 업 상태 등)는 다양한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센서 신호와 점화 시기 데이터를 바탕으로1 차 전류 차단 신호를 ECM으로부터 받아 점화 코일이 활성화 되고 점화 시기가 제어된다.

 

그냥 일반적인 내용입니다.

 

그럼 “정비절차”를 누르겠습니다.

본문 내용은 2.4L 엔진과 3.0L 엔진 두 종이 같이 나와 있습니다.

 

 

이럴거면 카테고리는 왜 나눠놨을까요?

 

참고로,

 

3.0L 엔진은 V6엔진으로 본닛 앞쪽 범버측에서 보시면 몸과 가까운 쪽을 앞쪽이라 칭하겠습니다.

앞쪽에 3기통, 뒤쪽에 3기통 나눠져있으며 뒤쪽 3기통의 점화플러그, 점화코일은 흡기서지탱크 밑에 있습니다.

이에, 뒤쪽 3기통 점화플러그, 점화코일 교체를 위해서는 흡기서지탱크를 탈거 해야됩니다. 

 

우선,

본문 내용을 보시면 “스파크 상태 점검”, “점화플러그 점검”, “점화 코일 점검”, “분리 및 장착” 순으로 나와 있습니다.

 

1.스파크 상태 점검

 1) 점화 코일 커넥터를 분리 한다.

 2) 점화 코일을 탈거한다. (체결토크 1.0~1.2kgf.m)

 3) 점화 플러그 소켓을 사용하여 점화 플러그를 탈거한다.

 4) 점화 코일에 점화 플러그를 장착한다.

 5) 점화 플러그를 차체에 접지 시킨다.

 6) 엔진이 크랭킹 되는 동안 스파크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7) 각각의 점화 플러그를 모두 점검한다.

 8) 점화 플러그 소켓을 사용하여 점화 플러그를 장착한다. (체결 토크 1.5~2.5kgf.m)

 9) 점화 코일을 장착한다.

 10) 점화 코일 커넥터를 연결한다.

 

2. 점화 플러그 점검

 1) 점화 코일 커넥터를 분리한다.

 2) 고정볼트를 탈거한 후 점화 코일을 탈거한다. (체결토크 : 1.0 ~ 1.2kgf.m)

 3) 점화 플러그 소켓을 사용하여 점화 플러그를 탈거한다.

 4) 전극과 세라믹 인슐레이터(B)를 점검한다.

 5) 전극의 간근을 점검한다. (규정값 : 1.0 ~ 1.1 mm)

 

○ 전극의 점검

*전극부가 검다

->연료 혼합비 농후, 흡입 공기량 부족

*전극부가 희다

->연료 혼합비 희박, 점화 시기 빠름, 점화 플러그 체결 토크 부족

 

3. 점화 코일 점검

1)커넥터 터미널 (+)와 (-)사이의 1차 코일 저항을 측정한다. (규정값 : 0.62 ± 10 % (Ω))

 

4. 분리 및 장착

1) 엔진 커버를 탈거한다.

2) 점화 코일 커넥터(A)를 분리한다..

3) 고정볼트를 풀고 점화 코일을 탈거한다.(체결토크: 1.0 ~ 1.2 kgf.m)

4) 장착은 분리의 역순으로 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구절절 적혀 있는데요,

여기서 DIY를 하기 앞서 주목 할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바로, 체결 토크와 점검 방법 인데요.

 

DIY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고 정상 유무를 미리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2.4L 엔진의 경우 분리 장착이 용이한 반면 3,0L는 흡기 탱크를 뜯어야 하기 때문에 불량품을 장착하면 강제로 반복 숙달을 해야됩니다.

 

아참! 점화플러그는 꼭 대리점에 방문하시어 구매를 하시기 바랍니다.

점화플러그의 바디는 세라믹으로 되어 있어서 충격에 약합니다.

택배기사님이 최대한 조심히 배송해주시겠지만,

점화플러그는 얇디 얇은 종이박스에 그냥 들어 있습니다. 뽁뽁이나 보양지는 1도 찾을 수 없습니다.

세라믹도 세라믹이지만 전극의 간극 손상이 될 수 있으니

필히!! 대리점에서 구매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우선 점화플러그를 구매 해오셨다면, 육안 검사를 먼저 합니다.

1) 세리믹에 크랙의 유무

2) 플러그가 전극 아래, 윗 부분의 부식 상태

3) 플러그 전극의 간극 A 점검  (이격 거리 : 1mm ~ 1.1mm ) <-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점화 코일의 저항값을 측정합니다.

측정 값 : 0.62옴 <- 역시 꼭 측정을 해 봅니다. 

 

구매한 부품에 문제가 없다면 체결 토크를 기록 해둡니다.

 

1) 점화코일 체결 토크 : 1.0~1.2kgf.m

2) 점화플러그 체결 토크 : 1.5~2.5kgf.m

3) 서지탱크 볼트 : 1.0~1.2kgf.m

4) 서지탱크 브라켓 : 2.8~3.2kgf.m

 

규정 토크는 꼭 지키셔야 합니다.

엔진은 알루미늄합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한 힘으로 조이실 경우 엔진해드의 나사선이 마모되어

압축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핸리 코일이나 탭으로 나사선을 복구 할 수 있으나,

기존 성능보단 못하니 절대 절대 주의 하셔야 합니다.

 

점화플러그, 점화코일의 점검 절차는 확인하였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3.0은 흡기 서지 탱크를 분리를 해야됩니다.

 

서지탱크 분리하는 항목은 “흡기 및 배기 시스템”을 참조 해야됩니다.

좌측의 트리 매뉴에서 "G3.0 GDI > 엔진 기계 시스템 > 흡기 및 배기 시스템 > 흡기 매니폴드 > 구성 부품 및 부품 위치"

흡기 매니폴드 구성부품 및 부품 위치

상기 그림과 같이 1 서지탱크를 분리해야 됩니다.

 

그럼 정비절차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터리 (-)단자 분리 -> (+)단자 분리 -> 배터리 탈거

2. 엔진 커버 탈거 (그냥 훅 뜯으면 탈거가 됩니다. )

3. 에어 덕트 탈거 (B,C 지점의 볼트를 먼저 풀어야 됩니다.)

4. 브리더 호스(A), 인텐셔 파이어 호스 (B)를 분리한다.

5. 에어 흡기 호스 클램프(C)를 풀고, 에어클리너 어셈블리(D)를 탈거한다.

- 언더 커버 생략, 냉각수 생략

※ 저희는 점화플러그와 점화코일만 교체(서지탱크만 탈거)할 것이므로 생략합니다.

6. VIS 커넥터 (C)

7. LH 흡기 CMPS 커넥터 (D)

8. MAP 센서 커넥터 (A)

9. PCSV 커넥터 (B)

10. 브레이크 부스터 진공호스 (C)

11. PCSV 호스 (A)

12. 연료 호스 (B)

13. 스로틀 바디 냉각수 호스 (C)

14. RH 흡기 CMPS 커넥터 (A)

15. 노크센서 커넥터 (B)

16. OTS 커넥터 (C)

17. ETC 커넥터 (D)

18. WTS & 게이지유닛 커넥터 (E)

19. 서지탱크의 볼트들을 탈거한다. (구성부품 및 부품 위치 참고)

 

상기와 같이 많은 부품과 볼트를 풀어야 하는데요,

글로만 봤을 땐 잘 이해가 안 되고 특히 작업 중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제가 작업을 하고 실제 작업 사진과 팁을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알리를 통하여 토크렌치를 주문하였는데 코로나19 때문인지 영 배송될 기미가 안보이네요,

블루x드의 토크렌치라도 최대한 빨리 구매를 하여 좋은 정보를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랜저HG 도어 하이그로시(가니쉬 어셈블리) 교체 DIY  (3) 2020.03.18
엔진 작동 원리  (0) 2020.02.18
현대차 정비지침서, 전장회로도  (0) 2020.02.10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현대차 부품(WPC) 정보 검색  (0) 2020.01.12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Tag GSW, 그랜저HG, 점화코일, 점화플러그, 점화플러그DIY, 정비지침서, 현대차, 흡기서지탱크 탈거
,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현대차 그랜져HG MDPS 결함 수리 (구리스) DIY

DIY/CAR 2020. 1. 4. 03:44

안녕하세요 보민 파파입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MDPS 자석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DIY를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DIY하기 앞서 Motor Driven Power Steering에 대해 좀더 알아보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MDPS는 말 그대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조향에 대해 어시스트 해주는 파워 스티어링입니다. 2000년대 이전에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을 많이 이용하였는데요, 엔진 구동 벨트에 유압펌프를 연결하여 엔진 구동손실로 연비 하락등에 영향이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구동손실을 줄이고 연비 향상과 경량 효과를 얻고자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으로 대부분 변경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자동주차와 자율주행 때문에 더 더욱이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으로 가는 추세입니다. MDPS가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원래 정식 명칭은 EPS(Electric Power Steering)입니다. 현대차에서만 MDSP라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MDPS의 구성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스티어링 구동용 전동기

- 그랜져 HG 경우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사용하고 있어 특별한 하자(충격등)이 없으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통 DC 모터는 브러시가 마모되어 브러시만 교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2. 조향 토크 센서

- 운전자가 돌리는 스티어링과 구동측에서 올라오는 비틀림등을 계측하여 핸들을 돌리는 힘과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입니다. 이 값을 이용하여 모터 구동에 대한 시정수로 사용이 됩니다.

3. 컨트롤러

- 조향 토크센서로부터 입력을 받아 전동기(모터)를 제어 합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봤을 때 전동기(모터)의 회전 에너지를 조향축로 전달하는 웜기어 ass`y가 있습니다.


<웜기어 ass`y>



이번 DIY에서 설명 드릴 부분, 바로 이 웜기어 ass’y 부분입니다.

앞 포스팅 자석현상의 원인과 같이 웜기어와 웜휠기어의 윤활재(구리스)가 사용상 경화(고착)되거나 구조상 주변으로 밀려나는 형상을 완화(보완) 하고자 합니다.


<구리스 도포 위치>

 

상기 사진 <구리스 도포 위치>의 좌측 사진과 같이 구리스가 웜휠기어 원심 방향으로 퍼져있으며 웜기어에도 구리스 양이 소량인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더욱이 전반적으로 도포된 양이 미량으로  부족해 보입니다.

 

저는 해당 MDPS의 웜기어와 웜휠기어의 만나는 부분에 타공을 하여 그리스를 주입하였습니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MDPS body 하부의 웜기어 및 웜휠기어 만나는 곳 타공

2. 주사기를 이용하여 구리스 주입

3. 타공 부위 마감

 

작업은 굉장히 심플하여 누구나?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그래도 전동Tool을 한번쯤 다루어 보셨어야 합니다.

 

우선 DIY에 사용될 공구 및 재료를 공유 드립니다.


< DIY 공구들 >


1. 타공용 4.2∅ 드릴 비트 -> 일반 철판 피스 

  - 하부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공간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냥 철판 피스로 뚫으면 됩니다. 

<철판 피스>

※피스는 되도록 짧은 놈이 좋습니다. 길면 뚫을때 중심 잡기 힘들어 어긋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전동 드릴 

3. 플렉시블 비트

  - 혹시나 하여 주사기를 사러 다이cow에 들렸는데 이 녀석이 있더군요. 무려! 2,000원 잘못 봤나 싶었는데, 맞습니다. 2000원 갑오브갑 가성비 입니다. 

다만, 연결하여 사용하다보면 진동과 열이 좀 많이 발생하는거 같습니다. 

그래도. 이녀석덕에 DIY를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4. 구리스 주입용 주사기

  - 요즘은 왜 문방구가 없을까요? 제가 생활하는 이동 반경에는 문방구가 없습니다. 예전 제가 어릴때는 과학/자연 시간에 사용할 준비물 주머니를 문방구에서 사곤 했는데, 시대가 많이 바뀌었나봐요.  보민이는 올해로 이제 4살인데, 교구가 다 어린이집에서 교부되긴 하더라구요 ^^;;

사담이 길었습니다, 해당 주사기는 엄청난 서치중에 이 역시 다이cow에서 판다는 정보를 입수하여 구매 하게 되었습니다. 화장품 소분용 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를 하고 있더군요. 제가 알고있는 주사기는 병원에서 사용하거나 압력차이에 대한 공부를 할때 교구였는데 말이죠 . 

5. 구리스 

 - 중요합니다.! 앞써 말씀 드린바와 같이 웜휠기어가 프라스틱의 재질로 되어 있어 일반 기름계열 그리스를 사용하게 되면 경화될 확율이 매우 높습니다.  단시간에 경화가 되지는 않겠지만 점점 고착되고 경화되어 크랙발생될 확율이 매우 높으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실리콘 계열의 구리스를 구매하였고.. 몇달전에 사두었는데 이제서야 사용하게 되었네요, 해당 구리스는 파썬 유지보수에도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세차하실때 파썬 열어 보시면 흰색의 구리스를 보셨을겁니다. 

정품 파썬용 구리스는 비쌉니다.


6. 타공 홀 마감용 마개

 

<마감용 마개>

 

잘 보이실지 모르겠지만 중앙에 저 검은 고무로 타공된 부분을 마감했습니다. 

해당 재료는 애바크리너 구매시 같이 동봉되어 온 녀석 입니다. 


위와 같이 재료 및 Tool을 준비 하셨으면 이제 DIY를 하실 수 있으시구요. 

그리고 구리스를 잘 주입하기 위해서 노즐을 만듭니다.


<바늘 구부리기>


바늘이 꺽이지 않도록 바늘 내부에 전선을 넣은 상태에서 굽힙니다.

바늘을 꺽는 이유는 웜휠기어와 웜기어 만나는 부분에 정확하게 주입하기 위함입니다. ※바늘은 주사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MDPS 하부 들어 가는 영상>

 

앞서 작업순서를 말씀 드렸는데요, 

"1. MDPS body 하부의 웜기어 및 웜휠기어 만나는 곳 타공" 에서 MDPS body 하부로 들어가는 것을 사진으로 표현을 해보았습니다. 



<MDPS 육간 식별 방법>


보시는 사진과 같이 브레이크 패달 쪽으로 머리를 집어 넣고 상부를 쳐다 보게 되면  MDPS가 보입니다. 


약간의 유연성이 필요합니다. 


<MDPS 타공 포인트>


사진 <MDPS 육간 식별 방법> 과 같이 누워 위를 쳐다 보게 되면 사진<MDPS 타공 포인트> 가 매우 가깝게 보이며, 해당 타공 포인트에 구리스 주입 홀을 뚫습니다. 


<드릴에 4.2파이 드릴 비트 적용>


4.2파이 드릴비트를 장착하고 뚫으려 했는데 공간이 협소하여 불가능합니다, 



<플렉시블 비트 장착>


그래서 플렉시블 비트를 장착하고 철판용 피스를 이용합니다.

- MDPS 바디가 알루미늄 재질로되어 있어 약한 힘으로 쉽게 뚫립니다.

단,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타공 펀치“로 마킹을 한 상태에서 하면 더욱 쉽습니다.


<타공 진행>


저같은 경우는 전동툴등을 자주 만져봤기 때문에 "타공펀치"를 이용하지 않고 플렉시블 비트에 피스를 꼽고 바로 타공 하였습니다. 



하부에서 홀가공을 하기 때문에 쇳가루가 들어갈 일은 없겠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천천히 진행을 하였습니다. 


<타공 동영상>


타공시 참고 하시라고 별도의 편집없이 동영상을 올려 드립니다.

※소리 주의!! 필히 사운드를 최대로 줄이고 재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영상의 드릴 돌아가는 소리를 들어 보시면 엄청 천천히 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간이 협소하다보니 피스를 자주 놓치는 모습이 나오네요 ^^;;

무엇보다 최종 지점에선 매우 천천히 힘 조절하면서 타공을 하셔야됩니다. 

절대 힘으로 밀어서 하시면 안됩니다. 혹시나 뚝하고 뚧릴 경우 힘에 의해 웜휠기어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타공 확인 및 구리스 주입 시뮬레이션>


동영상 <타공 확인 및 그리스 주입 시뮬레이션> 과 같이 혹시 모를 쇳가루나 팁이 들어가지 않았을까하는 마음에 주사기로 두어번 흡입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제작/가공한 바늘은 쓸모가 없습니다. 웜기어와 웜휠기어 맞물리는 지점에 정확하게 도포를 할 계획이였으나 바늘이 진입이 안됩니다.


<구리스 주사기에 옮겨담기 >


사진 <구리스 주사기에 옮겨담기>과 같이 해당 양을 1회 주입(앞써 쇳가루를 뺄때 과통홀과 주사기 노즐이 1:1 매칭이 되는것을 보셨을겁니다. 저는 그냥 주사기 노즐을 다이렉트로 물려 주입을 하였습니다.)하고 시동을 걸어 핸들을 좌, 우 끝까지 두 번 돌리고 다시 동일한양을 1회 더 주입하여 총 2번 주입하였습니다.


1회 주입만으로도 핸들이 너무 매끕럽게 돌아갑니다.

그리고, 고무마개로 마감을 합니다.


<고무마개 가공>


상기 고무마개는 에바 크리너를 사면 동봉되어 오는 녀석인데 딱 맞을 줄 알았는데 굵기가 점점 커지는 타입이라 쉽게 들어가지 않아 좀 더 얇고 짧게 사진과 같이 가공을 하였습니다.

 

지금 작성하는 시점은 DIY 후 대략 1개월이 지났는데요, 

핸들링은 여전히 매우 훌륭합니다.  

그리고, 

그랜져HG 11년식의 경우는 별도 스티어링휠 모드를 선택 할 수 없습니다.

예전에 초기증상이 나타났을 때 너무 힘들어 사업소에 방문하였더니 조향 모드를 스탠다드에서 컴포트 모드로 변경(스캐너물려 작업)해주었습니다.

 그 당시는 핸들링이 가벼워지니 엇 부드러워 졌다. 생각하고 지내왔는데, 뉴스에서 MDPS의 커플링 결함이니 교체 받아라 날리날리였죠. (커플링은 아무 문제 없었지만 교체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부분은 플라시보도 없었습니다. 차는 감성튜닝이라는게 있는데 말이죠. 저의 경우는 하나마나.. )


이렇게 DIY를 진행하여 보니 커플링 문제보단 해당 웜기어 ass`y 문제(구리스 경화)로 보여지고 확실한것 같습니다. (자석현상에 대해서만,, 저는 별도 소음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아참, 보셔서 아시겠지만 저의 DIY 법은 패달 공간 밑으로 기어들어가서 육안으로 식별이 힘든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 보니, 무릅 패드?를 뜯어서 MDPS 위쪽에서 타공을 하시는 분들이 계셨던것 같습니다. 이와 같이 작업을 하시면 내장재 탈걸에 대한 부담은 있지만 타공에서 있어서는 매우 용이할 것 같습니다.


전 아마 다시 한다면 다시 패달 공간 밑을 들어갈 생각입니다 ^^;;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로 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아아!!  저는 핸들 조작을 최대한 조심히하는 스타일이라 커플링이나 웜기어 마모가 없었습니다. 

 평소 핸들을 최대한 꺽으시거나 포트홀, 도로 연석에서 핸들을 무리하게 꺽으신다면 웜휠기어가 파손되거나 빠르게 마모가 될 것으로 사료가 되오니 늘 느긋하게 조심운전을 하시기 바랍니다. (해당 부분은 주차중에 많이 일어납니다)

 


그럼 여기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현대차 부품(WPC) 정보 검색  (0) 2020.01.12
현대자동차 MDPS 자석현상과 원인  (0) 2019.12.31
더뉴스파크 중앙등(실내등) DiY  (3) 2019.12.29
더뉴스파크 오디오 커넥터 정보  (6) 2019.12.26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Tag MDPS DIY, MDPS 개선, MDPS 결함, MDPS 수리, MDPS 이상, MDPS 자석현상, 그랜저HG, 그랜져hg, 현대차, 현대차 MDPS
, 댓글 2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현대자동차 MDPS 자석현상과 원인

DIY/CAR 2019. 12. 31. 02:05

안녕하세요 보민 파파입니다.

 

금일은 제가 운용하고 있는 현대차 그랜져HG 11년식의 조향장치에 대해서 이야기 드리고자 합니다.

현재 출고되는 신차의 경우는 많이 개선되었다고 합니다만 제가 운용하고 있는 연식대의 차종은 주행중 많이 불편함을 느끼셨거나 큰 비용을 드려 수리를 했을텐데요.

그 이유는 바로 자석현상!!

저 같은 경우는 고속 주행 중 커브길에서 핸들을 돌린 후 다시 복귀를 하지 않는 현상이 간헐적으로 있었고, 이는 핸들을 다시 정렬 하기위해 원점으로 돌릴때 작용 반작용에 의해 차량이 휘청거려 안전에 위험이 예상되어 매우 스트레스가 있었습니다. 이런 현상을 다른 분들은 자석현상이라고 많이들 말씀하셨는데, 제가 느낀점은 자석보다는 먼가 뻑뻑하다? 걸려있는 느낌이다? 마찰에 의한 긁는 느낌등을 받았습니다.

해당 현상은 간헐적으로 발생을 하나 주로 히터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송풍 방향을 아래쪽(발쪽)으로 했을 때 빈번하게 발생을 했던것 같습니다.

처음 추측 하였을 땐 MDPS 제어기가 열을 받아 오동작 하나? 생각 하였지만 특정한 구간에서(핸들 중심이 12시라고 했을 때 11시 반 위치, 1시 반 위치)에서 붙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후 핸들 높낮이를 조절 하거나 시계방향, 반 시계방향으로 핸들을 돌리면 증상이 완화되곤 했습니다. 

 

<조향 장치 사진>


상기 그림과 같이 그랜져HG 11년식의 MDPS는 C–Type입니다. 

C-Type란 컬럼 구동식으로 구동 모터가 실내 컬럼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해당 C-Type의 MDPS는 소형차나 저렴한 라인에 적용이 되는데, 왜!왜!왜! 그랜져에 적용을 했을까요? 

<MDPS 구성>


아무튼 !!! 

 C-Type MDPS의 장점으로는 수리가 용이하고 가격이 다른 Type 대비 저렴합니다. 

역시 원가 절감인가요? 요즘  제네시스 브랜드나 터보차량에는 R-MDPS를 적용하고 있더군요. 

단점은 상기 <조향장치 사진>과 같이 컬럼에 MDPS가 연결이 되어있어  실제 파워스티어링 기어박스와 거리가 있다보니 응답성이 떨어지며 실내에 있는  MDPS가 동작할때 기어와 모터에서 소음이 발생합니다.

다른 브랜드는 모르겠지만 제가 운용중인 그랜져HG 11년식의 MDPS는 해당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모터와 직결된 웜기어는 금속, 웜기어와 마주하는 웜휠기어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여기에서 발생되고 있었습니다.

금속과 플라스틱이 맞물려 돌아갈 때 상대적으로 강성이 약한 플라스틱이 마모가 되게 되어 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그리스를 도포하게 되어 있는데, 운용상 그리스는 웜휠기어 주변으로 밀려 분산되거나 열에 의해 점성이 떨어지거나 고착이 됩니다.

즉, 웜기어와 웜휠기어 사이에 윤활재가 없어지다 보니 소음 발생과 마모가 발생하게 된 이유입니다.

제가 해당 현상을 격은건 80,000km 전후였던 것 같습니다.

저의 운전 습관은 잦은 차선 변경을 하지 않으며 핸들을 최대(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끝까지)로 꺽지 않습니다. 예전 유압식 차종을 운용했을 때 습관 때문입니다.

유압식은 스티어링휠을 최대로 꺽으면 유압펌프에 부하가 걸려 유압펌프에 무리가 가며 차체에 진동을 전달하여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습니다.   


지금은 130,000km를 넘었습니다. 참.. 오랜 기간 참았습니다. 

몇번의 기변을 고려 하였지만 스티어링과 브레이크를 제외하면 매우 만족도가 높은 차량이라 참아가며 타왔습니다. 허나, 아시겠지만 고속 주행중 핸들이 뻑뻑하거나 먼가 걸리적 거리면 굉장히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정말 몇번의 우열 곡절끝에 잘 참았습니다. 그덕에 드디어 상기와 같은 원인을 찾아 다행입니다. 

 

 잠깐 옆으로 빠졌는데, 상기 이유로 그리스를 주입하면 되겠다 싶어 우선 신baby츠 사의  실리콘 그리스를 구매하였습니다. (일본산이니 주의 하셔야합니다. 요즘 일본산 불매 운동이 한참인데 전 1년 전에 사놔서 버릴 수도 없고 이용을 했습니다. 죄송합니다.)


그리스의 브랜드는 상관없으나, 꼭!! 실리콘 그리스를 사용해야됩니다.

왜냐 앞서 설명 드렸듯 웜휠기어가 플라스틱입니다. 일반 그리스를 이용시 플라스틱을 경화 시키거나 녹일 수 있으니 꼭 주의 하셔야 합니다.

 

이상 MDPS의 이상 원인에 대해서 살펴 보았구요.


다음 포스팅에는 DIY 자료를 공유 드리겠습니다.


p.s 포스팅에 이용한 이미지는  현대모비스의 부품상세검색 (WPC) 서비스에서 발취를 했습니다. 

참, 현대차를 버릴 수 없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 자료 공개, 정비의 용이성 

MDPS  DIY 포스팅 이후 현대모비스 부품상세 검색 서비스 (WPC) 이용 방법과

정비지침서, 회로도 분해조립도를 보는 방법을 추가 포스팅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DIY >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랜져hg 하체소음 (활대링크, 스테빌라이져링크)  (0) 2020.01.31
현대차 부품(WPC) 정보 검색  (0) 2020.01.12
현대차 그랜져HG MDPS 결함 수리 (구리스) DIY  (2) 2020.01.04
더뉴스파크 중앙등(실내등) DiY  (3) 2019.12.29
더뉴스파크 오디오 커넥터 정보  (6) 2019.12.26

BominPAPA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Tag c-mdps, MDPS, MDPS 오동작, MDPS 원인, MDPS 자석현상, 그랜저HG, 그랜져hg, 자석현상, 파워스티어링, 현대자동차, 현대차
, 댓글 0개가 달렸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 1
  • »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9)
    • Lucky info 리뷰 (1)
      • 기능과 옵션 (1)
      • 유용한 프로그램 (0)
    • DIY (11)
      • CAR (11)
    • ICT (6)
      • Python (5)
      • C,C++ (1)
    • etc (1)

글 보관함

  • 2020/05 (1)
  • 2020/04 (2)
  • 2020/03 (6)
  • 2020/02 (3)

달력

«   2023/03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태그목록

  • 디지털 깔깔이
  • MDPS 자석현상
  • 제 21대 국회의원선거
  • DIY
  • 그랜저hg 하이그로시
  • 현대차 DIY
  • 흡기서지탱크 탈거
  • 가니쉬 어셈블리
  • 현대 정비지침서
  • GSW
  • 활대링크
  • 현대차 배선
  • 자동차 부품 검색
  • 디지털 토크렌치
  • 그랜저hg 흡기서지탱크
  • 그랜져hg 하체소음
  • 그랜저HG
  • 부품검색 사이트
  • 더뉴스파크 프리미어
  • 현대차 GSW
  • 현대차 전장
  • 점화플러그DIY
  • 그랜져hg 하체
  • 활대
  • 현대차
  • 디지털 토크 컨버터
  • 그랜저hg 도어
  • 스테빌라이져링크
  • 더뉴스파크
  • 그랜져hg

링크

BominPAPA

블로그 이미지

잡학다식 Diy 및 리뷰 정보를 제공하며 IT 관련 프로그래밍 테크닉을 공유 하는 보민파파 입니다. Bominpapa

LATEST FROM OUR BLOG

  • 토크렌치, 디지털 컨버터, 디지털 토크 렌치 구매기.
  • 4월15일 법정공휴일 (근로기준법 검색).
  • 비쥬얼스튜디오 설치(VisualStudio) 무료 설치⋯.
  • 그랜저HG 도어 하이그로시(가니쉬 어셈블리) 교체 DI⋯. 3
  • 연산자 및 자료형 1.
  • 파이썬의 키워드 및 자료형_1.
  • 파이썬 가상머신과 식별자.
  • 파이썬 구성과 특징.
  • 파이썬 시작!.
  • 엔진 작동 원리.
RSS 구독하기

LATEST COMMENTS

  • 저도 가격과 품번 부탁드려도 될까요.. 홍진섭 02.07
  • 저도 B필러 하이그로시 교체 생각중이⋯. 자료 잘 보았습니다. 2020
  • 경고음이 뜰껀 없구요, ACC가 기본⋯. BominPAPA 2020
  • 몬가 제 댓글에 답변이 되어 있는듯 ⋯. 눈탱 2020
  • 안녕하세요 답변이 많이 늦었네요, ⋯. BominPAPA 2020
  • 답변이 늦었네요 ^^;; 우선,⋯. BominPAPA 2020
  • 정말전문가시네요. 제차는2013그랜져⋯. 대단하십니다 2020
  • 네~^^정보 감사합니다!!. 지랭 2020
  • 본문중 준비물, k5 실내등 구매하시⋯. BominPAPA 2020
  • 안녕하세요. 제 차도 더 뉴 스파크 ⋯. 지랭 2020

BLOG VISITORS

  • Total : 41,545
  • Today : 1
  • Yesterday : 42

티스토리툴바